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eg(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금융공공데이터 개념

  • 금융위원회 및 8개 금융공공기관과 5개 특수법인이 보유한 방대한 데이터를 연계·융복합·표준화하여 오픈 API형태로 제공하는 빅데이터입니다.
    * 오픈API : 특정 데이터를 다른 프로그램이 접근할 수 있도록 정한 공개형 통신규칙
  • 금융공공데이터는 상호 연계 및 시장의 관심 정도에 따라 9개 테마*로 구성되며,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 통합기업, 통합금융회사, 통합공시, 통합자본시장, 통합국가자산공매, 금융회사통계, 통합시세, 통합금융상품기본정보, 통합개인사업자정보

금융공공데이터 개방목적

  • 디지털 경제시대의 마중물 역할을 통한 경제 활성화, 공공부문 보유 정보의 적극적인 개방을 통한 국민의 알권리 실현이 금융공공데이터 개방 목적입니다.

참여기관

  • 금융공공데이터 개방사업은 금융위원회의 주도로 8개 금융공공기관(금융감독원, 예금보험공사, 한국산업은행, IBK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한국자산관리공사, 주택금융공사, 서민금융진흥원) 및 5개 특수법인(한국예탁결제원, 한국거래소, 금융투자협회, 생명보험협회, 손해보험협회)이 참여하였습니다.

개방범위

  • 현재(’22.12월) 금융공공데이터 9개 테마의 주요 개방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① (통합기업정보) 기본정보, 지배구조정보, 재무정보 등 기업정보 제공
    • ② (통합금융회사정보) 기본정보, 계열회사정보, 통계정보 등 금융회사정보 제공
    • ③ (통합공시정보) 전자공시시스템(DART) 정보를 상호연계, 영업현황, 유가증권정보 등 제공
    • ④ (통합자본시장정보) 유가증권 발행정보, 거래정보 등 자본시장정보 제공
    • ⑤ (통합국가자산공매정보) 국유재산 정보 및 공매자산 정보 등 국가자산정보 제공
    • ⑥ (금융회사통계정보) 은행, 자산운용사, 신용카드사 등의 금융회사 상세정보 및 세부통계 제공
    • ⑦ (통합시세정보) 전일 종가기준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 시세정보 제공
    • ⑧ (통합금융상품기본정보) 펀드상품, 보험상품, 서민금융상품 등 금융상품의 기본정보 제공
    • ⑨ (통합개인사업자정보) 개인사업자의 기본정보, 재무정보, 금융정보, 평가정보 제공

추진경과

  • ’19.4월 금융공공데이터 개방사업이 국가중점데이터사업으로 선정(행안부 지원)되어 약 9개월간 금융위원회와 산하 금융공공기관 등 9개 참여기관*이 보유한 데이터로 금융표준종합정보DB를 구축하였으며,
    * 금융감독원, 예금보험공사, 한국산업은행, IBK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한국자산관리공사, 주택금융공사, 서민금융진흥원 및 한국예탁결제원(’22.1월 공공기관 지정해제)
  • ’20.6.9.부터 기업 및 금융회사 정보 등을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을 통해 OpenAPI형태로 개방(69개 API, 250개 기능)하였습니다.
  • ’20.9.9.에는 금융위원회와 산하 금융공공기관 등 참여기관*이 다자간 업무협약 체결을 통하여 금융공공데이터의 적극적 개방과 민간이용 활성화를 도모하였으며,
    * 13개 기관(8개 금융공공기관 및 한국예탁결제원, 한국거래소, 금융투자협회, 생명보험협회, 손해보험협회)
  • ’21.11.22.자로 특수법인*의 데이터를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을 통해 OpenAPI형태로 추가 개방(18개 API, 40개 기능)하였습니다.
    * 한국거래소, 금융투자협회, 생명보험협회, 손해보험협회
  • 또한 ’22.12.9.자로 산하 금융공공기관의 개인사업자 정보주체를 알아볼 수 없도록 비식별화하여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을 통해 OpenAPI형태로 추가 개방(4개 API, 8개 기능)하였습니다.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