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eg(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보도참고] SKT 유심정보 유출 관련 금융사고 예방을 위해 금융 유관기관 점검 회의를 개최하였습니다.
2025-04-30 조회수 : 24935
담당부서금융안전과 담당자유은지 사무관 연락처02-2100-2974

SKT 유심정보 유출 관련 금융사고 예방을 위해 금융 유관기관 점검 회의를 개최하였습니다.

 

▸금융당국은 SKT 유심정보 유출 사고 관련 금융권 대응현황을 점검하고 유의사항대응방향논의하기 위한 점검 회의를 개최

 

금융당국, 유관기관, 협회금융권 피해 예방을 위하여
❶대응현황 공유 및 신속 연락체계 구축을 위한 비상대응본부 구성·운영,
❷부정 인증 등 사전 차단을 위한 보안 유의사항 적극적 준수,
❸해킹 등에 대비한 금융 인프라 기관의 상시 보안점검 강화 등을

  시행하기로 하였음


1. 개요


  금융위원회(위원장 김병환)는 4.30일(수) 오전 권대영 사무처장 주재로 금융감독원, 금융 유관기관 및 금융협회와 함께 ‘SKT 유심정보 유출 사고 관련 금융 유관기관 점검 회의’를 개최하였습니다. 최근 발생한 SKT 유심(USIM) 정보유출 사고로 인해 전자금융거래 안전성에 대한 금융소비자우려가 커짐에 따라 금융권 대응현황 점검하고 향후 대응방향을 논의하였습니다.


 ▪ (일시·장소) ‘25.4.30(수) 8:00, 금융위원회 대회의실

 

 ▪ (참석)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주재), 디지털금융정책관,
금융감독원 디지털·IT부문 부원장보,
금융보안원 사이버대응본부장,
신용정보원 전무, 금융결제원 CISO,
은행연합회, 금융투자협회, 생명보험협회, 손해보험협회, 여신금융협회,
저축은행중앙회 담당 임원


2. 주요 논의사항


  이날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현재 부정 인증 등 관련하여 특이한 징후포착되지 않고 있으며, 기관별로 사고 예방을 위한 보안조치 등을 시행하고 있다고 설명하였습니다. 또한, 참석자들은 향후 사고 가능성에 대비하여 상시적인 대응태세갖출 필요가 있다는 점에 공감하면서, 부정 인증 등을 방지하기 위해 금융회사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 강화 등이 필요하며, 특히 징후 발생 신속한 정보공유를 통한 체계적인 대응긴요하다는 점에 인식을 같이 하였습니다.


  금융감독원 유관기관·금융협회 등과 긴밀한 공조를 통해 금융권 대응현황 이슈 신속히 파악하는 한편, 부정·사기거래 등의 금융사고 비하여 사고보고체계강화*하고 일일 모니터링실시하고 있으며, 금융사고 전담 신고센터(☎1332) 운영 등을 통해 금융소비자 피해 예방 최선 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사고 발생시 전자금융사고시스템(EFARS)을 통해 즉시 보고토록 全 금융권에 안내(4.29.)


  금융보안원은 “이상금융거래에 대해 금융권의 집중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관련 정보를 금융회사에 신속히 공유 및 대응하도록 하겠다”고 언급하였습니다.


  신용정보원 "SKT 해킹사고에 따른 피해 예방을 위해 금융소비자를 대상으로 안심차단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홍보해 나가는 한편, 안심차단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금융결제원은 “오픈뱅킹 등 대국민 생활과 밀접한 금융 서비스에 대해 선제적 점검 후 보안 조치를 적용했으며, 향후 지속적으로 보안 현황을 점검하여 고객 피해 방지에 만전을 기할 예정”이라고 언급하였습니다.


  각 금융협회에서는 “현재 부정 인증 증가와 같은 징후는 포착되고 있지 않다”고 밝히면서, 금융권에서는 “기기정보 변경 고객에 대한 추가 인증이나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 등을 통한 모니터링 강화 등과 같은 추가 조치를 실시하고 있으며, 유관기관과 협조를 통해 철저한 사고 예방체계구축·운영하겠다”고 강조하였습니다.


3. 금융권 당부사항


  회의를 주재한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은 “SKT 해킹 사고가 금융보안 사고로 이어질 경우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불안을 야기 할 수 있다”고 하면서, 금융권 피해 예방을 위해


대응현황 공유 및 신속 연락체계 구축을 위한 비상대응본부 구성·운영하여, 일단위로 금융권 대응 현황특이 사항을 보고하도록 하고,

금융권에 금감원, 금보원 등 유관기관과 긴밀히 협조하여 피해 예방을 위한 보안 유의사항 철저히 준수하고 노령층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하게 대응할 것을 강조하였으며,

금융결제원, 신용정보원 등 금융 인프라 기관은 해킹 등에 대비하여 상시 보안점검 강화할 수 있도록 당부하였습니다.


  권 사무처장은 회의를 마무리하면서 국민 여러분이 모두 안심하고 금융거래를 지속할 수 있도록 금융당국, 유관기관, 금융기관이 높은 경계감을 가지고 모두 합심하여 대응해 나갈 것을 주문하였습니다.


< 비상대응본부 구성(안) >

 

이 이미지는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의 비상대응본부 조직 구성을 도식화한 구조도입니다. 최상단에는 금융위원회와 그 아래에는 금융감독원이 위치해 있습니다. 그 아래에는 비상대응본부(부서별 발장)가 위치합니다. 비상대응본부 아래에는 다섯 개(종합대응반, 상시감시반, 사고대응반, 신고센터)의 조직이 가로로 나열되어 있습니다. 종합대응반(디지털금융총괄국): 은행, 보험, 여전 등 금융업권. 그 왼쪽에는 유관기관 박스가 별도로 연결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금융협회, 금융보안원, 신용정보원, 금융결제원 등이 포함되어 있고 공조체계 유지라는 설명이 붙어 있습니다. 상시감시반(IT검사국): 전자금융사고보고와 금융사고보고. 사고대응반(IT검사국) : 은행검사2국, 금투검사2국, IT검사팀. 신고센터(금융소비자보호처) : 1332 민원·상담.

* 종합대응반, 상시감시반, 사고대응반, 신고센터로 구성하고, 금융협회, 금보원 등과 긴밀히 공조

첨부파일 (3)첨부파일 열림
250430(보도참고) SKT 유심정보 유출 관련 금융사고 예방을 위해 금융 유관기관 점검 회의를 개최하였습니다.pdf (324 KB) 파일뷰어 파일다운로드
250430(보도참고) SKT 유심정보 유출 관련 금융사고 예방을 위해 금융 유관기관 점검 회의를 개최하였습니다..hwp (322 KB) 파일뷰어 파일다운로드
250430(보도참고) SKT 유심정보 유출 관련 금융사고 예방을 위해 금융 유관기관 점검 회의를 개최하였습니다.hwpx (349 KB) 파일다운로드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