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SA가 금융회사에게도 생소한 제도이고 제도 도입 초기라 금융회사들이 적극적으로 나서기보다는 다소 관망하는 분위기
ㅇ이에 따라, 금융회사들이 편입상품을 다양하게 구성하는데 적극적이지 않고 시장상황 등을 감안하여 일부 상품의 편입을 제한
□ 금융회사들은 자금유입이 확대되고 본격적 자산운용이 이루어지면 상품라인업을 다양화하고 편입상품 범위는 확대할 전망
ㅇ퇴직연금의 경우에도 초기에는 편입가능한 펀드 종류가 많지 않았으나 시장이 성숙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한 사례
* ’06년말 : 128개 → ’15년 말 : 586개
□ 향후 정부가 수익률 비교공시, 계좌이동 시행 등으로 경쟁적 시장 환경을 조성해 나감에 따라 편입상품이 다양해지고 투자자의 선택권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
① 상품·수익률 비교공시와 계좌이동 서비스가 개시(5~6월)되어 금융회사간 수익률 제고를 위한 경쟁이 본격화되면,
- 다른 금융회사와 차별화되고 다양한 상품라인업을 구비하였는지 여부가 핵심 경쟁력으로 작용
② 은행의 일임업 진출, 온라인을 통한 일임형 ISA 가입 등으로 자금유입이 가속화됨에 따라 ISA 전용상품의 개발 증가
③ IFA 제도 도입 등 자문업 활성화(3월중 발표)를 통해 전문가가 다양한 상품을 발굴·추천하게 되면 금융회사도 이에 맞추어 상품라인업을 다양화해 나갈 것으로 예상
순서 | 글 제목 |
---|---|
이전글 | [ISA]가입 실적할당과 불완전판매에 대한 대응 |
다음글 | [ISA]ISA 편입상품 등이 안내되지 않아 깜깜이 투자 |